반응형

'여성이라서 더 대단하다'가 아닌, 그냥 대단한 프로그램이다. 난잡해진 상황에서 바로 경기 중단을 내리고 다음날 패널티과 재경기를 진행하는 방식에선 특히나 제작진이 매끄러운 진행에 대해 많은 고민을 했음이 느껴졌다. 

 

 

 

* 아래 아쉬운 내용 해당 프로그램의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

 

 

아쉬웠던 웰컴 경기 : 갯벌 

사이렌은 홍보 단계에서부터 유사한 프로그램인 <강철부대>와 함께 언급되곤 했다. 그리고 <강철부대> 시즌1과 시즌2에 모두 등장했던 가로림만의 등장은 다소 식상한 느낌이 들 수 있는 포인트였다. 물론 사이렌은 섬 내부를 아주 제대로 활용했으나 <강철부대>에서도 사용되었던 갯벌 이동이라는 웰컴경기는 남성에서 여성으로 바뀐 것 외에 차이점을 느끼긴 어려웠다.

 

그리고 솔직히 경기를 진행하기에 복장의 차이가 너무 컸다. 활동에 용이한 군복, 체육복을 입었던 다른 팀들과 달리 경호팀의 경우엔 정장 차림이었다. 물론 주무대에서는 정장을 입고 경호를 잘 하시는 분들이시겠지만, 갯벌 달리기라는 미션에 정장은 다른 팀에 비해 불리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경찰팀의 경우에도 정복차림이 갯벌 달리기에 용이할리 없었다. 그렇게 경찰팀과 경호팀은 해당 미션에서 최종 5위와 6위를 하게 되었다. 

 

 

편향적인 아레나전

비교적 주목받지 못한 경찰, 경호, 스턴트가 빛을 발할 수 있는 아레나전이 사실상 없었다. 

특히 첫번째 아레나전은 대놓고 소방팀에게 유리한 미션이었다. 사전 미션인 장작패기가 힘을 이용한 미션이라는, 평등한 느낌이 있기는 했으나, 최종 진행 내용인 불 피우기와 불 끄기는 불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소방팀에게 절대적으로 유리했다. 게다가 호스에 소방관에게 익숙한 관창까지 장착되어 밸런스가 무너졌다.

 

또 다른 아레나전인 삽질도 경험치의 차이가 두드러졌다. 군생활에서 당연히 많은 삽질을 경험한 군인팀, 모래 경기장을 관리해본 씨름선수, 비치 카바디 경험하며 경기장 세팅을 해본 카바디 선수가 포함된 운동팀, 소방차 바퀴가 빠진 경우에 삽질을 경험해본 소방팀. 그에 비해 경호팀은 삽질 경험치가 두드러지게 약했다. (하다못해 여왕피구라도 있었다면 경호팀이 돋보일 수 있지 않았을까)

 

 

애초에 파악하기 힘든 깃발 뽑기

혼전 속에서 누구의 깃발이 뽑혔는지, 내 깃발이 뽑혔는지 파악하기가 너무 어렵다. 방송으로 안내가 나간다곤 하지만 1초마다 상황이 달라지는 혼전 속에서 내 깃발이 뽑혔음을 즉시 인지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특히나 시야를 방해하는 상황 속이라면 더더욱 파악이 어렵다. 축구에서도 심판이 호루라기를 불기 전까지 우선은 최선을 다하라고 하듯이, 플레이어들은 방송으로 명확히 나의 탈락을 인지하기 전까진 최선을 다할 수 박에 없다. 탈락이 되는 순간 옷에 라이트가 켜진다던지, 효과음이 즉시 발동된다던지 해서 탈락 그 즉시 스스로 인지할 수 있는 방식을 채택했어야 한다고 본다.

 

 

전략보단 연합

제일 메인이라고 볼 수 있는 기지전은 매우 아쉬웠다. 많은 인원이 연합하여 밀어붙이면 패배할 수 밖에 없는 구조였다. 다인원이 공격하러 오는걸 관찰하여 빈집을 턴다던지, 함정에 빠뜨린다던지, 새로운 입구를 개척한다던지 하는 새로운 모습은 볼 수 없었다. 그저 다인원으로 몰려 들어와 문을 뜯고 들어갈 뿐이었다. 나는 맵 자체를 줄였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너무 맵이 넓고 출발지가 본인의 기지로 지정된 규칙상 각 팀의 이동시간을 쉽게 파악할 수 있었고, 한번 설정한 목표물에서 다른 목표물로 전환하기 힘든 구조였다. 4명이 모두 공격하러 오는게 보이더라도 빈집을 터는 전략이 불가할 정도로 수비에만 몰두해야 하는 현실이 아쉬웠다. 특정 작전을 양방향에서 소화해 먼저 클리어한 팀이 승리를 한다던지, 각 팀의 특징을 돋보일 수 있는 미션들이 적절히 섞였으면 하는 바램이 있었다. 

 

 

긴장감 없는 패자부활전

의미심장하게 패배했던 팀들을 다른 섬에 모아두더니 패자부활전은 10분도 채 되지 않아 끝나버렸다. 경기 중반부터는 차이도 극명하게 드러나며 긴장감 마저 없었다. 정말 이것이 최선이었을까.

 


아쉬운 점들을 나열하긴 했지만 시즌2도 기대하고 싶을 정도로 분명히 재밌는 프로그램이었다. (멤버 섭외가 쉽지 않을 것이라 생각되지만..)

반응형
반응형

 

연예인 토크쇼가 되어버린 <유퀴즈 온 더 블럭>에대한 문제제기는 이전에도 계속 제기되어 왔지만, 약 2달간의 휴식기를 가지고 재가동된 시즌4부터 더욱 극심화되고 있다.

 

똑같이 코로나로 인해 야외 활동이 제한된다는 핸디캡을 안고 있던 시즌3와 비교해 봐도 캐스팅의 결이 너무 다르다는 걸 느낄 수 있다. 물론 이전에도 연예인 출연은 있었으나 도로 위 색깔 유도선을 만든 한국도로공사 윤석던 설계차장님, 재난문자를 보내는 공무원 박대성 님처럼 궁금하지만 그들이 누구인지 전혀 알 수 없었던 인물부터, 수어 통역사 권동호 님, 환경미화원 금동건 님, 수능 출제위원 강상희 님, 서예가 이정화 님 등 쉽게 만나기 어려운 일을 하시는 분들을 하시는 분들을 만나고 그들의 이야기를 듣는 재미가 있었다. 

 

또 특집의 이름과 캐스팅된 사람들과의 연계성이 너무 좋아서 다음주엔 누가 나올지를 기대하는 맛이 있었다. 106화 <N주년> 특집에선 개교 50주년 카이스트의 총장, 40년 된 게임 브루마블, 20년 차 114사 상담사와 함께 인생 10년 차 어린이가 나오기도 했다. 130화 <이름값; 운명을 따르는 자> 특집에선 공군 상사 박격포님, 임산부를 돌보는 간호사 임신복님, 노동의 가치를 가르치는 건축과 교수 김노동 님, 집배원 오세용 님, 베테랑 소방관을 꿈꾸는 베테랑님이 나오는, 한 명 한 명이 신기하고 궁금한 캐스팅을 선보였다. 

 

하지만 시즌4가 진행되고 있는 현재의 유퀴즈에선 이러한 재미를 전혀 느낄 수 없다.

 

163화 <한우물>특집 - 배우 박은빈

164화 <천의 얼굴>특집 - 배우 소지섭

165화 <죽어야 사는 사람>특집 - 배우 이혜리

166화 <해가 서쪽에서 뜬다면> 특집 - 배우 진선규

167화 <아는 만큼 보인다>특집 - 배우 이서진

168화 <해내야죠>특집 - 배우 유해진

169화 <신입사원>특집 - 가수 션

170화 <나의 연구일지>특집 - 배우 손석구

171화 <촛물 하나>특집 -그룹 god

172화 <어텐션>특집 - 아이돌 뉴진스

173화 <이게 되네?>특집 - 아나운서 오승훈

174화 <신과 함께>특집 - 남성 중창 보컬그룹 포레스텔라 

175화 <내 인생의 한 장면>특집 - 배우 조정석

176화 <인생 드라마>특집 - 배우 김혜자

177화 <빼앗긴 인재>특집 - 가수 페퍼톤스, 배우 이하늬

178화 <라이벌전>특집 - 배우 이성민

179화 <세상에 그런 일이>특집 - 배우 정성일

 

거리로 나가 시민과 대화를 나누는 프로그램이라는 초기 컨셉이 무색할 정도로 모든 회차에 연예인이 등장하고 있다. 운동선수, 유튜브 크리에이터까지 연예인의 범위로 포함한다면 더 많아진다. 

 

 

178화의 경우, 전체 분량 중 거의 절반이 연예인인 배우 이성민에게 배분되어 있다. 심지어 다른 인터뷰어들은 두 명씩 나오고, 이성민은 혼자 나왔음에도 불구하고 더 많은 분량을 차지하고 있다.

 

00:00:00~00:23:41 (약 23분) 수의사 설채현, 나응식

00:23:41~00:52:44 (약 29분) 여행 크리에이터 곽튜브, 원지

00:52:45~01:38:16 (약 45분) 배우 이성민

 

176화는 더 심하다. <인생 드라마>특집이라는 타이틀로 댄스 크루 저스트 절크와 배우 김혜자가 나왔는데 이럴 거면 김혜자 배우님 단독 특집으로 내야 했던 게 아닐까 싶을 정도다

 

00:00:00~00:28:25 (약 28분) 저스트 절크

00:28:26~01:36:01 (약 57분) 배우 김혜자

 

1인이 나와 토크로 가득 채운 김혜자 배우와 달리 저스트 절크는 3명의 멤버의 인터뷰가 진행되었고, 중간에 모든 멤버가 나와 댄스 무대를 선보이는 시간까지 포함되었다. 방송을 업으로 하는 연예인들의 경우 출연비의 정도가 다를 테고, 그만큼 더 많은 분량을 내보내려는 방송국의 상황도 이해는 한다. 하지만 어느 정도일 때의 얘기이지, 이 정도로 불균형한 분량 분배는 다른 출연자에게 예의가 아니다.

 

 

게다가 178화 방송 초반 언급했던 <라이벌전>이라는 주제 마저도 의미가 없었다. 처음에 나온 수의사 설채현과 나응식의 경우 고양이vs강아지 라는 대립 구도로 라이벌전이라는 주제에 맞게 진행되었지만, 나머지는 라이벌전이라는 주제가 관통하지 않은 캐스팅이었다. 여행 크리에이터 곽튜브와 라이벌 구도로 세우고 싶다면 원지가 아닌, 빠니보틀이 나왔어야 함이 틀림없다. 물론 곽튜브와 원지가 기존의 친분이 있긴 하지만, 이 둘이 라이벌 관계라는 점을 공감할 수 있는 사람이 있을까 싶다. 물론 과거 빠니보틀의 영상을 무단으로 사용하고 문제제기 한 이후에야 사과한 유퀴즈에 빠니보틀이 출연을 응할지도 의문이다. 

 

그리고 이성민의 출연은 '라이벌'이라는 주제가 전혀 관계 없었다. 이성민이라는 사람의 인간사를 읊었고, 그냥 최근 화제작이었던 <재벌집 막내아들>에서 주목받은 배우를 초대한고 촬영 비하인드 이야기를 듣는 것밖에 되지 못했다.

 

 

해당 회차 전체를 관통하고, 많은 이들에게 위로와 감동을 주던 멘트들도 어느 순간 다 사라졌다. <스트리트 푸드 파이터>에 영상으로 맛있어 보이게 만들어내는 미적 감성이 있었다면, 유퀴즈에는 글로 많은 감정을 공유하는 문학적 감성이 있었는데 이마저 없어지고 그냥 토크쇼가 되어버렸다.

 

 

유퀴즈를 담당한 김민석PD는 "'유퀴즈'는 거리로 나가 시민 분들과 대화를 하는 프로그램이에요. (MC의) 인지도, 호감도가 이뤄져야했어요. 누굴 맞닥뜨려도 익숙한 사람이어야 하고 익숙한 사람이면서 호감이 있어서 나에게 말을 걸고 시간을 내달라고 했을 때 내줄 수 있는 사람. 독보적인 인지도, 호감도를 가진 분이 유재석 씨라고 생각했어요."라고 매체와 인터뷰한 내용이 있다. 물론 김민석PD는 tvN를 퇴사하고 jtbc로 옮겼다. 그래서인지 더더욱 유재석이 이 프로그램을 진행해야 하는 의미가 무색해지고 있다. 

반응형
반응형

<프로듀스> 시리즈를 성공적으로 마쳤지만, 투표조작이 이루어졌음이 확정되고, 담당 PD들에게 징역이 확정되면서 엠넷의 흑역사를 넘어 한국 방송계의 흑역사로 남았다. 그렇게 계속해서 시즌을 이어나갈 것 같았던 프로듀스는 4번째 시즌이었던 <프로듀스X101>을 마지막으로 종료되었다.

 

<보이즈플래닛>의 이전 작품인 <걸즈플래닛>에서도 제기되었지만, 이 방송은 프로듀스와 크게 다르지 않다. 대다수의 요소가 프로듀스의 요소들을 그대로 사용했다. 이름과 컨셉만 바꾸었을 뿐, 새로운 프로듀스 시리즈라고 봐도 무방할 정도이다.

 

제작진들도 프로듀스 시리즈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을 인지하고 있는지 투표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외부 전문 기관의 검증을 거쳐 제작된다는 고지를 처음부터 박고 시작되었다. 하지만 프로듀스의 그늘에서 벗어나고자 했다면 아예 새로운 시스템을 제작해야 했다.

 

 

 

<보이즈플래닛>은 한국에서 참여한 K그룹, 한국 외의 외국에서 참여한 G그룹이 반씩 참여한다. 한국에 지사를 두고 있는 중국 기획사 위에화엔터테인먼트에선 K그룹, G그룹 모두 참여하기도 했다. 하지만 G그룹이라는 이름이 다소 무색하게도 아시아권이 아닌 국가는 거의 교포 출신으로 외모적으로 '서양인'의 모습을 하고 있는 연습생은 없다. 애초에 아시아권이 아닌 국가 참가자는 미국 출신 2명, 캐나다 2명밖에 없다. 그리고 이들은 모두 한국 회사 소속 연습생인데 G그룹으로 참여했다.

 

 

하지만 이미 한국 연습생들과 연습생이라는 신분으로 바꾸고 참여한 일본의 AKB48와의 합작이었던 <프로듀스48>에서 보여주었던 포맷이라 이조차 신선하지 않다.

 

 

 

'국민 프로듀서'라는 이름으로 불리던 투표권을 가진 시청자들은 '스타 크리에이터'라는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그 외에 달라진 점이라곤 글로벌 투표도 받는다는 점뿐이다.

 

 

이미 <프로듀스> 시리즈에서 숱하게 보아온 소속사별 입장부터 시작해서,

 

 

연습생들이 좌석에 앉는 방식

 

 

데뷔 멤버 수만큼의 특별한 의자를 배치하고, 최종 데뷔 멤버를 100% 투표로 결정한다는 메인 컨셉까지 프로듀스 그 자체이다.

 

 

탈락 여부를 결정하진 않지만, 보컬, 랩, 댄스 분야의 마스터들이 나와 등급을 결정하고, 가르침을 주는 것도 프로듀스와 동일하다.

 

 

등급 테스트의 이름은 바뀌었다. 별 레벨로 구분되는데, A, B, C, D, F 5단계로 진행되던 기존의 <프로듀스> 시리즈와 네이밍만 다를 뿐 동일한 등급 체계를 갖추고 있다.

 


 

한 기사에 따르면 "고 PD는 "84개 지역에서 지원을 해줬는데 아시아 지역 지원자가 많다 보니 상대적으로 아시아 쪽 연습생의 비중이 높다. 하지만 역대 오디션 프로그램 중 다양한 지원자들이 참가한 것은 확실하다"며 "미국, 캐나다, 베트남, 태국 등 연습생들이 있다"라고 말했다."라는 PD의 인터뷰가 있다. 다양한 국가의 연습생들이라는 점을 그나마의 차별화로 꼽은 것 같은데, 유의미한 변화를 만들고 싶었다면 북미, 아시아를 벗어나 더 많은 국가의 출신들이 있었어야 했다.

 

 


<프로듀스> 시리즈가 초기에 각광받았던 부분은 오랜 기간 트레이닝받아왔지만 여러 상황으로 데뷔하지 못하고 절박함이 남은 연습생들의 투지를 볼 수 있었던 점이다. 그런 점을 드러내기 위해서라도 연습생 기간이 얼마나 되는지도 같이 표기되곤 했었다. 하지만 시즌이 거듭되면서 누가 봐도 이대로 데뷔할 수 없는 실력을 가진 연습생들이 대거 참가하기 시작했다. 이런 <보이즈플래닛>에도 동일한 현상은 드러난다. 정말 잘 트레이닝되어서 이대로 데뷔를 해도 손색없을 것 같은 참가자가 있는 반면, 이 연습생들은 트레이닝이라는 걸 받긴 한 걸까 라는 연습생도 대거 노출되었다. <슈퍼스타K>처럼 순수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오디션이 아닌, 트레이닝된 연습생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종료 후 바로 데뷔할 멤버를 뽑는 오디션인 만큼 시리즈를 계속 이어나갈 것이라면 엠넷도 이 부분에 대한 고민은 거듭되어야 할 것이다.

 

 

 

 

 

 

 

반응형
반응형

 

 

 

스트릿 우먼 파이터 (이하 스우파), 스트릿 맨 파이터 (이하 스맨파)에서 미션 점수의 분배 방식, 미션 내용, 탈락 대결 방식, 배틀 방식 등 다양한 문제점들이 지적되지만 프로그램 전반에 걸쳐 제기되는 문제점은 심사위원이다.

 

스우파에선 보아, 태용(NCT), 황상훈이 파이트 저지로 참여했고, 스맨파에는 보아, 은혁(슈퍼주니어), 장우영(2PM)이 참여했다. 시즌 통틀어 총 5명의 파이트 저지 중 안무가, 안무제작을 업으로 하고 잇는 사람은 황상훈이 유일했다. 절대 보아, 태용, 은혁, 장우영이 춤을 못 춘다는 이야기가 아니다. 그들도 오랜 시간 동안 춤 트레이닝을 받아왔고, 음악을 하며 춤을 함께 병행하는 사람들이지만 방송계에서 춤이라는 부분에서도 어느 정도 인정을 받는 사람들이다. 단순히 그들이 가수라서, 아이돌이라서 비판의 대상이 되는게 아니다. 춤'만' 전문적으로 해온 사람들이 아닌 만큼 일반적인 브레이킹 대회들에 비해 전문성이 현저히 떨어진다. 전문적인 브레이킹 대회 뿐 아니라 그동안 나왔던 댄스 콘텐츠들과 비교해도 부족한 전문성이 두드러진다.

 

 

부족한 전문성

 

타 댄스프로그램들에 비해 전문성이 현저히 떨어져 보일 수밖에 없다. 물론 Kpop 댄스 마스터와 디렉팅 마스터로 참여한 이민우, 김수로 등에 대한 멘토들에게도 이슈는 있었으나 댄싱9은 그야말로 '댄스 마스터'라는 이름을 붙이기에 충분한 사람들로 대다수를 구성했다. 춤을 디렉팅 해야 하는 프로그램 특징상 더 중요한 부분이었겠지만 직접 티칭을 하고, 안무를 짜고, 정확한 기술명을 언급하고, 어떤 구성이 어려운 점인데 잘했는지에 대해 명확히 짚어줄 수 있는 전문성을 보여줬다.

 

재즈 댄스 마스터인 우현영 마스터의 안무로 완성된 무대

 

댄싱 중간중간 즉흥적으로 나오는 우현영 마스터, 하휘동 마스터의 평과 설명만 들어도 전문성의 차이가 느껴진다. (심지어 이 둘은 당시 무대를 하고 있는 블루아이의 적 팀인 레드윙즈의 마스터였다.)

 

 

스맨파 직전에 방영되었던 SHOW DOWN (이하 쇼다운)과도 전문성에서 차이가 두드러진다. 참가자들에 비해 브레이킹 경력이 비교적 짧은 박재범, 힙합 댄서인 제이블랙에 대해서는 다소 의견이 갈릴 수 있지만, 브레이킹에 대해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이우성 저지에 대해 반박하긴 어려울 것이다. 이 외에 허니제이, 김설진, 리아킴, 하휘동을 스페셜저지로 부르며 저지쇼까지 완벽하게 소화해냈다. 저지쇼 한번 없던 스우파, 스맨파와 비교될 수밖에 없다. (괜히 스맨파에서 바타의 콜아웃 언급 장면에 많은 사람들이 환호를 보낸 게 아니다.) 

 

쇼다운에서도 저지 콜아웃이 언급된 바 있다. 물론 농담 가득한 예능적 요소로 언급되었지만, 전혀 준비되지 않았던 그 자리에서 바로 기술 한번 보여줘 상황을 정리하는 이우성 저지만 보더라도 스맨파, 스우파의 저지들은 이런 모습을 보여줄 수 있는가 싶다.

 

 

한국에 워낙 댄스크루가 많고, 개인으로 활동하는 사람들을 모아 프로젝트 팀으로 출연시켜도 될만큼 훌륭한 댄서들이 많다. (스우파의 WANT, 스맨파의 엠비셔스도 그랬지만 쇼다운의 이모션크루도 쇼다운을 위해 결성된 프로젝트 크루였다) 댄싱9 이후 전문 댄서들의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논란은 많지만) 끝마친 엠넷이 스우파, 스맨파를 단발성으로 끝내진 않으리라고 생각된다. 하지만 꾸준한 사랑을 받길 원한다면 제작진들의 브레이킹 문화 이해도 중요하지만 (배틀에서 다른 노래 트는 건 왜 계속 이어가는지 모르겠다) 댄서들도, 시청자도 납득 가능할만한 전문성을 지닌 저지들이 판정을 내리고 단순 인기투표로 되지 않게끔 조정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스우파, 스맨파, 댄싱9, 쇼다운에서 가장 좋았던 무대 하나씩 공유하고 글을 마친다. 

 

스우파 - 홀리뱅

Sampa the Great - Energy

French Montana - Freaks

+ DANA, EUNA, Collin, HEBE, Matia, HADI, MOVV, Hayeon, CHOCOL, Yeni Cho, Uneww, Haechiwang, YOYO, Yoon seo, HALO, YEONSU, BOGYU, Yi seul, MOLIN, ALIVE, TELLA, Piglet, Anggo, HEEMIN, Ellosie, NABEE, Kimhyemi, Kimtaekyung, Cri, YonHwa, jiyoung, NaNa, YERAE, Dayeon, gahwa, Yeojin Kim 

 

 

 

 

 

스맨파 - 어때

Madonna - Vogue

Gibson Brothers - Cuba

+ 펑키와이, 왁시, 윤지

 

 

댄싱9 시즌2 - 김설진&김경민

기억상실 - 거미 

 

 

쇼다운 - 진조크루 

<하울의 움직이는 성 OST> 인생의 회전목마

+고연경(피아니스트) +이모셔널 라인(팝핑크루)  +독특크루 DOKTEUK CREW(댄스 크루) +섬머솔트(마샬아츠팀) 

반응형

+ Recent posts